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9084
성능 요약
메모리: 114328 KB, 시간: 124 ms
분류
다이나믹 프로그래밍, 배낭 문제
문제 설명
우리나라 화폐단위, 특히 동전에는 1원, 5원, 10원, 50원, 100원, 500원이 있다. 이 동전들로는 정수의 금액을 만들 수 있으며 그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. 예를 들어, 30원을 만들기 위해서는 1원짜리 30개 또는 10원짜리 2개와 5원짜리 2개 등의 방법이 가능하다.
동전의 종류가 주어질 때에 주어진 금액을 만드는 모든 방법을 세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(1 ≤ T ≤ 10)가 주어진다.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 번째 줄에는 동전의 가지 수 N(1 ≤ N ≤ 20)이 주어지고 두 번째 줄에는 N가지 동전의 각 금액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주어진다. 각 금액은 정수로서 1원부터 10000원까지 있을 수 있으며 공백으로 구분된다. 세 번째 줄에는 주어진 N가지 동전으로 만들어야 할 금액 M(1 ≤ M ≤ 10000)이 주어진다.
편의를 위해 방법의 수는 231 - 1 보다 작고, 같은 동전이 여러 번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.
출력
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입력으로 주어지는 N가지 동전으로 금액 M을 만드는 모든 방법의 수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.
아이디어, 문제풀이
- 항상 dp를 어떻게 설정할지 생각해 내는게 중요하다.
- 총 금액을 dp에 저장한 후, 그 금액에 도달하는 경우의 수들 중, 최소개수로 도달하는 경우를 선택한다.
TROUBLE SHOOTING
크래프톤 정글에서 내준 dp문제중 그나마 내 머리로 점화식을 떠올리고 풀어낼 수 있었던 문제. 점화식을 떠올릴 수 만 있다면, 문제를 풀이 하기엔 쉽다. (그나마)
이 문제를 풀며 정말 확실하게 느낀건데, 진짜 점화식을 직접 풀이하며 써보는게 중요한 것 같다.
다음부턴 올릴 수도 있으니… 좀더 깔끔히 써보는걸로 하고… 이런식으로 내가 어떻게 함수를 작성할지, 대충이라도 그림을 그려보고, 대충이라도 점화식을 구성해두면 문제풀이가 휠씬 수월한것 같다.
코드
#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9084
#동전
#9084
# import sys
# input = sys.stdin.readline
t = int(input())
# # n = 동전의 가지수 / coin = 각 동전의 개수 / m = 만들어야 하는 금액
# n = int(input())
# coin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# m = int(input())
# # print(n)
# # print(coin)
# # print(m)
def fun(n, coin, m):
for i in range(n):
for j in range(m+1):
if j == coin[i]:
dp[j] += 1
elif j > coin[i]:
dp[j] += dp[j-coin[i]]
return dp
# result = fun(n, coin, m)
# answer = result[m]
# print(answer)
for _ in range(t):
# n = 동전의 가지수 / coin = 각 동전의 개수 / m = 만들어야 하는 금액
n = int(input())
coin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m = int(input())
dp = [0] * (m+1)
result = []
result = fun(n, coin, m)
print(result[m])
'[CODING TEST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백준 12865 - 평범한 배낭 (0) | 2023.05.23 |
---|---|
[PYTHON] 백준 9251 - LCS (0) | 2023.05.23 |
[PYTHON] 백준 1904 - 01타일 (0) | 2023.05.23 |
[PYTHON] 백준 2748 - 피보나치 수 2 (0) | 2023.05.23 |
[PYTHON] 백준 2294 - 동전 2 (1) | 2023.05.19 |
댓글